imgLoadingbar
왼쪽 주 메뉴 바로가기 오른쪽 주 메뉴 바로가기 본문 내용 바로가기

보도자료

‘울릉도·독도 하늘길 열려’…경북도, 광복절 무착륙 비행 행사 진행


울릉도·독도 무착륙 비행 중 시야에 들어온 독도 전경.[경북도 제공]

[헤럴드경제(안동)=김병진 기자]경북도는 제76주년 광복절을 맞아 지난 15일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입지 선정 1주년 및 2025년 개항 예정인 울릉공항 홍보를 위해 ‘대구-울릉도(독도) 무착륙 비행 행사’를 열었다.

이날 행사는 국내 유일 소형항공사인 ‘하이에어’의 50인승 여객기를 이용해 오전 8시 15분과 오후 2시 45분 2회에 걸쳐 진행됐다.

도는 개인 SNS를 통해 울릉도·독도를 그려 응모한 일반인과 광복회 및 독도관련 단체 등 90여명의 탑승객을 선정했다.

참여자들은 대구공항에서 이륙해 동해안과 울릉도·독도 상공을 비행했으며 독도명예주민증, 독도공기캔 등을 기념품으로 받았다.

기내에서는 독립기념관에서 제작한 역사 콘텐츠 독도역사교실(독도키트) 자료를 통해 독도의 역사와 자연에 대한 이해를 하는 시간도 가졌다.


대구-울릉도·독도 무착륙 비행 행사 참가자들이 비행기 안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경북도 제공]

김모 씨는 “비행 행사에 참여해 기쁘다”며 “곧 취학예정인 아이들과 우리나라 동쪽 끝 울릉도, 독도 하늘을 날며 광복절의 참 의미를 알려줄 수 있어 너무 좋았다”고 전했다.

이동일 광복회 경북도지부장은 “울릉도를 1시간 만에 갈 수 있어 너무 감격스럽다”며 “우리의 땅 독도에 대한 소중함이 더 간절해 졌다”고 소감을 밝혔다.

최혁준 경북도 통합신공항추진단장은 “대구공항에서 출발해 울릉도·독도 상공을 비행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며 “앞으로 대구경북신공항과 울릉공항이 성공적으로 건설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지난해 8월 28일 입지가 선정된 후 대구시의 기본계획 수립용역과 국토부의 민간공항 타당성 검토 용역, 도의 공항신도시 및 교통망 구상 용역이 이뤄지고 있다. 오는 2028년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울릉공항은 국비 6600억원을 들여 지난해 11월 착공했으며 2025년 개항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 공항이 생기면 내륙에서 울릉도를 1시간대에 오갈 수 있게 된다.